안녕하세요.
요즘 온라인에서 자신만의 쇼핑몰을 운영하는 분들이 정말 많죠? 매달 열심히 매출 정산을 해봐도, 막상 세금 신고(종합소득세 또는 법인세)를 할 때가 되면 매월 정리해둔 정산서와 다른 숫자에 혼란스러울 때가 많으셨을 겁니다.
오늘은 이 '숫자의 비밀'을 한번 파헤쳐볼까 해요.
세금 신고용 숫자와 '실제' 운영 숫자는 왜 다를까?
보통 회계사무실 또는 국세청에서 확인하는 손익계산서는 세금 신고를 위한 공식적인 자료 입니다. 법적인 기준과 원칙에 맞춰 만들어져 있죠. 마치 우리 회사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하지만 온라인에서 발생하는 매출은 그 특성상, 정확한 수익성을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 매출 인식 시점의 차이:
- 자사몰의 경우 PG사(KG모빌리언스, 토스 등)로 바로 전송이 되기 때문에, 결제일 기준으로 매출이 확정되지만, 간편결제(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의 경우에는 고객이 구매확정을 눌러야 매출로 인식이 됩니다. 그럼 실제 결제일과는 몇일정도의 텀이 생겨버리는 거죠.
- 원가 인식 시점의 차이:
- 매출원가는 남아있는 재고를 기준으로 계산되다 보니, 이번 달에 실제로 팔린 상품의 원가가 아니라, 재고 마감 시점에 맞춰 원가가 배분됩니다.
- 즉, 이번 달에 많이 팔았는데 재고가 갑자기 늘었다면 원가율이 이상하게 보이기도 하는 거죠.
이런 차이들로 인해 월별 매출총이익률이나 영업이익률이 실제보다 왜곡되어 보이거나, 들쭉날쭉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어떤 상품이 정말 잘 팔리는지?', '이번 마케팅은 효과가 있었는지?', '어떤 비용을 줄여야 할지?' 같은 중요한 질문에 명확한 답을 찾기 어렵게 되죠. 그렇다면 우리 쇼핑몰의 '진짜 이익'을 파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진짜 이익'을 보여주는 새로운 기준
이 때 필요한 기준이 바로 '관리회계 관점의 손익'입니다.
이 지표는 공식적인 세금 신고 자료와는 별개로, 대표님(혹은 운영하시는 분)께서 '어떤 상품을 더 팔아야 할지', '어떤 비용을 더 줄여야 할지'를 판단하실 때 훨씬 더 명확한 기준이 될 겁니다.
- 진짜 매출 총 이익률
- 실제로 당월에 팔린 상품들에 대한 매출과 그 상품들의 원가를 딱 맞게 계산한 비율입니다.
- 상품 자체의 마진율이 정확히 얼마인지 알 수 있고, 어떤 상품에 집중해야 할지, 어떤 상품의 가격을 조정해야 할지 명확해집니다.
- 실질 영업이익
- 앞서 말씀드린 '진짜 매출 총 이익률'을 바탕으로, 운영 활동으로 인해 '실제로 남은 이익'이 얼마인지를 보여드릴겁니다.
- 기존처럼 갑자기 이익이 늘거나 줄어들거나 하는 현상 없이, 우리만의 꾸준한 진짜 수익 흐름을 볼 수 있습니다.
한눈에 보는 '진짜 이익'의 흐름 (시각화의 힘)
숫자를 나열하는 것보다, 그래프로 보면 '진짜 이익'의 흐름이 훨씬 명확하게 보일 겁니다.
- [그래프 1: 기존 재무회계 기준 월별 매출 총이익률 추이]
- 설명: 보시는 것처럼 기존 그래프는 월별로 수익률이 오르락내리락해서 '대체 왜 이렇지?' 하셨을 수 있습니다.
- [그래프 2: 새로운 관리회계 기준 월별 매출 총이익률 추이 (더 안정적인 흐름)]
- 설명: 하지만 이 새로운 기준으로 보면 우리 쇼핑몰의 진짜 수익 흐름이 훨씬 명확하고 안정적으로 보입니다. 특정 월에 왜곡 없이 실제 흐름을 파악할 수 있죠.
이렇게 두가지 수치를 그래프화 해서 본다면 훨씬 고민이 줄어드실 거예요.
'진짜 이익'이 대표님의 의사결정을 돕는 방법
결론적으로 이 '관리회계적 관점의 손익'을 통해 대표님께서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 어떤 상품이 얼마나 이익을 남기는지, 어떤 마케팅 활동이 효과적인지 명확히 판단하여 '잘 되는 것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왜곡 없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품 가격 조정, 신상품 소싱, 마케팅 예산 책정 등 신속하고 자신 있게 결정하실 수 있게 됩니다.
- 손익분기점 분석, 목표 이익 달성 시뮬레이션 등이 더욱 정확해져 사업 계획 수립에 큰 도움을 줍니다.
- 불필요한 비용이나 비효율적인 부분을 더 쉽게 찾아내어 진정한 의미의 비용 효율화를 이룰 수 있습니다.
물론 초반에 데이터를 분류하고 구축하는 데 약간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쌓인 정확한 데이터는 여러분의 쇼핑몰에 강력한 자산이 될 것입니다. 새로운 상품을 소싱하거나, 신규 사업을 추진할 때도 미래를 예측하고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강력한 모델링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거예요.
'경리회계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이론] 세금계산서를 받았는데요 (1) | 2024.10.18 |
---|---|
[기본이론] 증빙관리 이렇게 해보자 (3) | 2024.10.18 |
[기본이론] '원가'를 알아야 마진을 구한다. (2) | 2024.10.18 |
[기본이론] 입사했더니 '전표'정리를 하라고 해요 (0) | 2024.10.18 |
[기본이론] 회계언어를 배워보자 (1) | 2024.09.19 |